포도 효능, 부작용 알아보아요.
비타민과 유기산 등 영양소가 풍부해서 이라고도 불리는 포도는 고대 이집트 벽화에 포도가 등장할 만큼 역사가 오래되었으며, 품종은 매우 많아서 전세계에 걸쳐 1만종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에 중국에서 들여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등에 포도에 관한 기록이 실려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껍질이 까맣고 알이 작은 캠벨이나 당도가 뛰어난 거봉, 머루 맛이 도는 머루포도가 대중적으로 유통되고 있습니다. 포도는 당분이 많이 들어 있으며, 비타민 A, B, B2, C, D 등이 풍부하고 그밖에 칼슘, 철, 인, 나트륨,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 중 하나로 근육과 골격을 튼튼하게 하고 습지를 제거하고 꾸준히 섭취하면 몸을 가볍게 하며 건강하게 ..
더보기
토마토 효능 알아보아요.
가짓과에 속하는 일년생 반덩굴성 식물열매인 토마토는 남미 페루가 원산지입니다. 16세기초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한 즈음 유럽으로 건너가서 스페인과 이탈리아에서 재배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19세기 초 일본을 거쳐서 들어왔다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에 토마토를 관상용으로 심었지만, 차츰 영양가가 밝혀지고 밭에 재배하기 시작하면서 대중화되었습니다. 세계 슈퍼푸드 3위의 자리를 지키고 있는 토마토에는 구연산, 호박산, 사과산, 루틴, 아미노산, 단백질, 회분, 당질, 칼슘, 철, 인, 비타민A, B1, B2, C, 식이섬유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 C의 경우 토마토 한개에 하루 섭취 권장량의 절반가량이 들어 있습니다. 오늘은 익혀먹어도, 생으로, 갈아서 먹어도 맛있는 채소, 전 세계인들이 ..
더보기
복숭아 효능 알아보아요.
복숭아나무의 열매로 도자(挑子)라고도 불리는 복숭아는 살이 연하고 맛이 달고 시며,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개량 품종이 재배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초부터로 우리나라에서는 경상북도, 경기도, 경상남도, 충청남도 등이며 강원도에서 재배되기도 합니다. 복숭아는 5월말부터 수확하기 시작해 길게는 9월까지 수확을 하지만, 가장 맛이 좋을 때가 7-8월로 여름 제철과일이며, 과육색에 따라 백도와 황도로 나뉘는데, 백도는 생과일로 황도는 통조림 등 가공식품으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복숭아는 포도당과 과당, 수분이 풍부하고, 포만감에 비해 열량이 적게 나가는 편이라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에게 좋으며, 비타민이 많아 피로를 해소시키고 손상된 피부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한의학에서는 복숭아를..
더보기
갈치 효능 알아보아요.
농어목 갈치과의 바닷물고기인 갈치는 모양이 칼같이 날렵하게 생겼다하여 검어(劍魚), 도어(刀魚)라고 불렀으며 지방에 따라 칼치, 청갈치, 공치, 아재비, 붓장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는 물론 일본, 중국 등 세계의 온대 또는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7-8월에 많이 잡히는 갈치는 담백한 맛과 함께 다양한 효능으로 사랑받고 있는 어류입니다. 갈치는 단백질, 지방 특히 필수아미노산과 무기질, 비타민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오장의 기운을 돋우는데 최고의 음식이며, 소화가 잘되고 여성과 노약자의 골다공증 예방에 좋으며 아이들의 두뇌발달에도 좋은 식품입니다. 한방에서도 갈치는 고기의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하며 주로 간경, 비경으로 들어가서 효능을 발휘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오늘은 구이는 ..
더보기
상추 효능, 부작용 알아보아요.
깻잎, 풋고추와 함께 고기집에서 빠지지 않고 올라오는 쌈채소인 상추는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 줄기는 곧게 서며 반들반들하고 털이 없으며 부드럽고 사각사각하여 맛이 좋고 채취하지 않으면 줄기가 자라서 꽃자루가 되고 윗부분이 분지되며 꽃이 핍니다. 서아시아, 지중해, 유럽이 원산지로 전세계 각지에서 재배하고 있습니다. 한자어로 와거, 와채라고도 하며,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먹기 시작했는지 정확히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옛날 어머님들은 장독대 주변에 상추를 심어서 허물을 벗기 위해 염분이 필요한 뱀이 장독대에 오는 것을 막았다고 합니다. 상추의 품종은 크게 잎상추, 결구상추, 배추상추, 줄기상추의 4가지 변종으로 나누어 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잎상추나 결구상추를 많이 심..
더보기